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올해 종료… 대신 ‘청년미래적금’ 나온다 (2025년 정책금융 변화 정리)
9%대 고금리 효과와 정부 기여금으로 청년 자산 형성에 큰 도움을 준 청년도약계좌가 2025년을 끝으로 사실상 종료됩니다.
대신, 이재명 정부는 ‘청년미래적금’이라는 새로운 청년 지원 정책을 예고하며 정책 금융 구조의 전면 개편에 나섰습니다.
오늘은 세제 혜택 종료 시점, 기존 가입자 영향, 신규 제도인 청년미래적금의 방향까지 총정리합니다.
✅ 청년도약계좌, 2025년 말로 '사실상 종료'
2023년 윤석열 정부 당시 출시된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최대 5000만 원까지 자산을 모을 수 있고,
이자 + 정부기여금 + 비과세 혜택을 더해 최대 9.54%의 효과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세제 개편안에 따라 이자·배당소득 비과세 혜택이 올해 12월 31일까지만 적용되고,
그 이후 신규 가입은 사실상 중단됩니다.
- 🔹 올해 말까지 가입자 → 5년간 혜택 유지
- 🔹 2026년부터 신규 가입 불가 예정
도입 2년간 220만 명 이상 가입했던 청년도약계좌는 정권 교체와 함께 새로운 정책으로 전환됩니다.
✅ 새롭게 등장하는 ‘청년미래적금’은?
이재명 대통령 공약에 따라 추진되는 ‘청년미래적금’은 2025년 9월 발표 예정입니다.
항목 | 내용 |
---|---|
대상 | 만 19세 ~ 34세 청년 (근로·사업소득 보유) |
방식 | 청년이 적금을 납입하면 정부가 일정 비율 추가 적립 |
목적 | 청년 자산 형성과 경제적 자립 지원 |
구조 |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유사 |
구체적 금리, 정부 지원 비율, 납입 구조는 9월 '경제정책 방향'에서 발표될 예정입니다.
✅ 청년도약계좌 → 청년미래적금 ‘갈아타기’ 가능성은?
과거 사례를 보면,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로 중복 가입은 제한되었지만, 만기 후 연계 가입은 허용되었습니다.
- ✔ 기존 청년도약계좌 + 청년미래적금 → 중복 제한 가능성
- ✔ 만기 도달 후 연계 가입은 유력
✅ 주요 비교 요약: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미래적금
구분 | 청년도약계좌 | 청년미래적금 (예정) |
---|---|---|
출시 시기 | 2023년 6월 | 2025년 9월 예정 |
대상 | 만 19~34세 청년 | 동일 |
납입 방식 | 월 70만 원 한도 자유납입 | 미정 (예상 유사) |
정부 지원 | 월 기여금 + 비과세 | 정부 추가 적립 |
금리 효과 | 최대 9.54% | 미정 |
비과세 혜택 | O (2025년 종료) | 미정 |
중복 가입 | X | X (예상) |
기존 가입 유지 | O (5년간 유지) | - |
청년도약계좌는 올해 안에, 청년미래적금은 내년부터
2025년 말 종료 예정인 청년도약계좌는 올해 안에 가입해야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청년미래적금은 실질적인 자산 지원을 목표로 설계되어 내년부터 새로운 선택지로 등장할 예정입니다.
핵심 요약:
- 청년도약계좌 → 2025년 12월 종료
- 기존 가입자는 → 5년간 혜택 유지
- 청년미래적금 → 2025년 9월 발표
- 중복가입보단 갈아타기 형태 예상
👉 가입을 고민 중이라면 연말 전까지 청년도약계좌 신청 여부 체크는 꼭 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