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인 6월 15일 오전 7시 30분 현재 전국이 대체로 흐린 가운데 오늘(15일)은 전국이 가끔 구름많다가 오후부터 차차 흐려지겠고, 제주도는 대체로 흐리겠다.
내일(16일)은 전국이 흐리다 오후부터 가끔 구름많겠다. 모레(17일) 중부지방은 가끔 구름많겠으나,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대체로 맑겠다.
○ (오늘~내일 강수)
오늘(15일) 오전(09~12시)에 제주도에 비가 시작되어, 오후(12~18시)부터 중부지방과 전라권에, 밤(18~24시)부터 경상서부로 확대되겠다.
내일(16일) 새벽(00~06시)부터 오전(06~12시) 사이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가 내리겠고, 일부 중부지방과 경상권, 제주도는 오후(12~18시)까지 비가 이어지는 곳이 있겠다.
* 예상 강수량(15~16일)
- (수도권) 서울.인천.경기, 서해5도: 20~60mm(많은 곳 인천.경기북서부 80mm 이상)
- (강원도) 강원내륙.산지: 20~60mm/ 강원동해안: 5~20mm
- (충청권) 대전.세종.충남, 충북: 10~60mm
- (전라권) 광주.전남: 20~60mm(많은 곳 남해안 80mm 이상)/ 전북: 10~50mm
- (경상권) 부산.울산.경남남해안: 30~80mm(많은 곳 남해안 100mm 이상)/ 경남내륙: 20~60mm/ 대구.경북: 10~50mm/ (16일) 울릉도.독도: 5~20mm
- (제주도) 제주도(북부 제외): 30~80mm(많은 곳 120mm 이상, 산지 150mm 이상)/ 제주도북부: 10~40mm
○ (모레 소나기)
모레(17일) 오전(09~12시)부터 낮(12~15시) 사이 강원내륙.산지에는 소나기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
* 소나기에 의한 예상 강수량(17일)
- (강원도) 강원내륙.산지: 5mm 내외
○ (강수 유의 사항)
오늘(15일) 오후부터 내일(16일) 오후 사이 비가 내리는 지역에서는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가 치는 곳이 있겠고, 오늘 밤부터 내일 새벽 사이 중부지방, 내일 새벽부터 오전 사이 제주도와 남해안에는 시간당 30mm 내외의 매우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으니,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오늘과 내일 비가, 모레(17일) 소나기가 내리는 지역에서는 가시거리가 짧아지고 도로가 미끄럽겠으니, 교통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 기온 >
당분간 기온은 평년(최저 15~19도, 최고 23~29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다.
또한, 당분간 전국 내륙을 중심으로 낮 기온이 30도 내외로 올라 덥겠으니,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어제(14일) 내린 비로 인해 습도가 높아져 오늘(15일) 전국 내륙을 중심으로 최고체감온도가 31도 이상으로 올라 덥겠으니, 야외 활동 시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 체감온도: 기온에 습도의 영향이 더해져 사람이 느끼는 더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온도로, 습도 약 55%를 기준으로 습도가 10% 증가 혹은 감소함에 따라 체감하는 온도가 약 1℃ 증가 혹은 감소하는 특징
오늘(15일) 낮최고기온은 24~32도가 되겠다.
내일(16일) 아침최저기온은 20~23도, 낮최고기온은 25~30도가 되겠다.
모레(17일) 아침최저기온은 17~22도, 낮최고기온은 25~31도가 되겠다.
○ (안개)
오늘(15일) 오전(10시)까지 대부분 해안과 충청권내륙, 남부내륙을 중심으로 가시거리 200m 미만의 짙은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고, 그 밖의 지역에는 가시거리 1km 미만의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다.
특히, 해안에 위치한 교량(영종대교와 인천대교, 서해대교, 천사대교 등)과 인접한 도로, 내륙의 강이나 호수, 골짜기에 인접한 도로에서는 주변보다 안개가 더욱 짙게 끼겠으니, 차량 운행 시 감속 운행하여 추돌사고 등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통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짙은 안개로 인해 공항에서는 항공기 운항에 차질이 있을 수 있으니, 항공교통 이용객들은 사전에 운항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 (바다 안개)
당분간 대부분 해상에 바다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고, 특히 섬 지역에는 가시거리 200m 미만의 짙은 안개가 끼면서 이슬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으니, 항해 및 조업하는 선박은 해상 안전사고에 주의하고, 해상교통 이용객은 사전에 운항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 글피 전망 >
○ (하늘상태)
글피(18일)는 전국이 대체로 맑겠다.
○ (기온)
글피(18일) 아침최저기온은 16~22도, 낮최고기온은 26~33도가 되겠다.
< 유의 사항 >
○ (강풍)
오늘(15일) 오후부터 중부지방과 전라서해안을 중심으로 바람이 순간풍속 55km/h(15m/s) 내외로 강하게 부는 곳이 있겠으니,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내일(16일)부터 제주도중산간.산지에서 차차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면서, 강풍특보가 발표될 가능성이 있다.
○ (해상)
제주도남쪽먼바다와 남해동부바깥먼바다에 풍랑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제주도남쪽안쪽먼바다는 오늘(15일) 오전까지, 제주도남쪽바깥먼바다와 남해동부바깥먼바다는 모레(17일)까지 바람이 30~60km/h(9~16m/s)로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1.5~4.0m로 매우 높게 일겠으니,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유의해야 한다.
또한, 내일(16일)부터 그 밖의 남해먼바다와 제주도해상, 동해먼바다에서 차차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매우 높게 일겠다.
오늘(15일)은 서해상, 내일(16일)은 제주도해상과 남해상을 중심으로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가 치는 곳이 있겠으니,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유의해야 한다.
o 풍랑주의보 : 남해동부바깥먼바다, 제주도남쪽바깥먼바다, 제주도남동쪽안쪽먼바다, 제주도남서쪽안쪽먼바다
(1) 강풍 예비특보
o 06월 16일 새벽(00시~06시) : 전라남도(거문도.초도), 제주도(제주도산지, 제주도북부중산간, 제주도남부중산간)
(2) 풍랑 예비특보
o 06월 16일 오전(06시~12시) : 남해서부동쪽먼바다, 제주도앞바다(제주도동부앞바다, 제주도남부앞바다, 제주도서부앞바다)
이미지 출처 기상청
11일 오전 9시경 필리핀 마닐라 서쪽 약 해상에서 발생한 제1호 태풍 우딥(WUTIP)은 15일 오전 3시경 중국 홍콩 서북북쪽 약 290KM 부근 육상에서 열대저압부로 변질됐다.
올해 장마는 예년보다 일주일 빠른 6월 12일 제주도를 시작됐다. 1973년 이후로는 6월 10일 시작한 2011년과 2020년에 이어 세 번째로 빠르다.
하지만 최근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에 호우특보가 발효될 정도로 많이 내린 비는 정체전선 영향이라 볼수 없다.
정체전선이 제주까지는 북상을 해서 12일 제주에는 장마가 선언이 됐는데 정체전선이 다시 동쪽으로 빠지면서 기상청은 19일경 장마 시작 시점을 논의할 예정이다.
장마는 한반도에서 주로 여름철에 여러 날 비가 내리는 날씨가 지속되는 기상 현상의 일종으로, 그 원인인 정체전선(장마전선), 우기(雨期)를 가리키거나 또는 그 시기의 비 자체를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장마는 대한민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인접국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하계 기후의 특성으로, 이 때문에 장마를 '제5의 계절'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반도의 경우 장마전선이 공급하는 강수는 전체 강수량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여, 한반도에 위치한 대부분의 하천은 매우 높은 하상계수를 갖고 있다.
장마는 동아시아 몬순(monsoon) 시스템 일부다. 몬순은 계절에 따라 주 풍향이 바뀌는 현상을 말하며 현재는 '계절에 따라 강수가 많거나 적은 현상과 그 시기'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동아시아 몬순은 5월 중순께 남중국해에서 시작해 북태평양고기압 확장 또는 북진과 더불어 동아시아 국가에 장마를 부른다. 중국과 일본에도 각각 '메이유'와 '바이유'라는 장마를 지칭하는 용어가 있는 이유다.
보통 장마기간은 제주는 6월 19~20일경 시작해 7월 20일경 끝나고 남부지방은 23~25일경 시작해 7월 24~25일경 끝나고, 중부지방은 6월 24~25일경 시작해 7월 26일경 끝난다.
장마는 여름철에 여러 날을 계속해서 비가 내리는 현상이나 날씨, 또는 그 비를 이르는 말이다. 한자어로는 임우(霖雨)라고 한다. 장마 기간은 평균적으로 30~35일이나, 이 기간 동안 계속해서 비만 내리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비가 내리는 날은 15~20일 정도이며 이 중에서도 정체전선에 의해 내리는 경우는 12~16일 남짓에 불과하다.
카테고리 없음
[기상청 오늘의 날씨 및 내일날씨]오늘~내일 오후 전국 비, 2025년 제1호 태풍 소멸-2025년 장마기간 언제?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