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의 최근 한 달 평균 수익률이 20%를 넘겼다. 주식시장 고점 흐름 속에서도 안전자산인 금 투자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1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금 관련 ETF 7종의 최근 한 달 평균 수익률은 20.6%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ACE KRX금현물’이 29.0%로 가장 높았고, ‘TIGER KRX금현물’(28.9%), ‘SOL 국제금’(18.0%), ‘KODEX 금액티브’(17.7%) 등이 뒤를 이었다.
금 ETF 가격이 이미 크게 오른 상황이지만 개인투자자(개미)들의 매수세는 식지 않고 있다. 연합인포맥스 자료에 따르면 지난 13∼17일 한 주간 개인투자자의 순매수 상위 종목 가운데 ‘ACE KRX금현물’이 1,290억 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TIGER KRX금현물’(5위·990억 원), ‘KODEX 금액티브’(6위·970억 원) 등도 10위권에 포함됐다.
국제 금 현물 가격은 지난해 3월 온스당 2,000달러 수준이었으나, 16일(현지시간) 오후 4,30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인 4,318.75달러를 새로 썼다.
“채권의 대체재로 금 부상”…안전자산 선호 가속
증권가에서는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확대,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 주요국 재정 악화 등 복합 요인이 금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고 분석한다. 채권의 신뢰가 약해지면서 안전자산 수요가 금으로 이동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윤 연구원은 “결국 금이 채권의 대체재로 부상하고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전쟁이 통화 불안을 심화시키며 금의 매력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전문가 “추가 상승 여력 충분…온스당 4800달러 전망도”
시장에서는 금값이 이미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음에도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금 가격은 상승세가 시작되면 쉽게 꺼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며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 중앙은행 매수세, ETF 자금 유입이 이어지며 단기 조정 없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JP모건, 골드만삭스 등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은 금 가격이 온스당 4,8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