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은행 대출 연체율 0.61%…중소기업·가계대출 모두 ‘상승세’

by crystal_14 2025. 10. 24.
반응형

국내은행 대출 연체율 0.61%…중소기업·가계대출 모두 ‘상승세’

8월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다시 오르며 금융시장에 경고등이 켜졌다. 특히 중소기업과 가계의 연체율이 동반 상승하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 8월 국내은행 연체율, 전월보다 0.04%p 상승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5년 8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61%로 집계됐다. 전월(0.57%) 대비 0.04%포인트(p) 상승하며 2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올해 5월 연체율은 0.64%로 8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은 뒤, 6월에는 일시적으로 0.52%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연체채권 정리 효과가 사라지면서 다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 기업대출 연체율 0.73%…중소기업 부문 악화

8월 중 기업대출 연체율은 0.73%로 전월(0.67%)보다 0.06%p 상승했다. 대기업의 연체율은 0.15%로 소폭(0.01%p) 상승에 그쳤지만,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89%로 0.07%p 급등했다.

중소기업은 내수 부진과 자금조달 비용 증가로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연체가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가계대출도 상승…신용대출 연체율 0.92%

가계대출 연체율도 0.45%로 전월 대비 0.02%p 증가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연체율은 0.30%, 주담대를 제외한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연체율은 0.92%로 0.06%p 상승했다.

이는 금리 고착화와 실질소득 감소,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한 차주 부담 증가가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 신규연체 2조9천억 vs 정리채권 1조8천억

8월 한 달 동안 발생한 신규연체는 2조9천억 원으로 전월보다 1천억 원 증가했다. 반면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8천억 원에 그쳐, 신규 연체 발생이 정리 규모를 상회했다. 결과적으로 전체 연체율이 상승세를 이어가게 됐다.

📊 금감원 “부실 확대 대비해 손실흡수력 유지할 것”

금감원은 “내수 부진과 대내외 불확실성이 이어지며 연체·부실 확대 가능성이 있다”며 “은행들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관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가계의 소득 둔화와 자영업 부진이 이어질 경우 연체율이 연말까지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