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검스에 킬힐? CJ 이재현 회장의 은밀한 파티, ‘비공식 오디션’의 민낯

by crystal_14 2025. 9. 25.
반응형

권력층의 은밀한 파티, ‘비공식 오디션’의 민낯

대중에게 익숙한 오디션은 가수를 발굴하거나 배우를 선발하는 ‘공식 무대’입니다. 그러나 일부 권력층의 사적 영역에서도 ‘오디션’이라는 단어가 왜곡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은밀한 모임에서 참가자들이 단순한 손님이 아니라, 평가와 선발 과정을 거치는 대상으로 취급된다는 점입니다.

“은밀한 선발 과정”

이들 모임에 참여하려면 여러 단계를 거친다고 합니다. 외모와 체형을 확인하는 면접, 보안을 이유로 한 장소 변경, 휴대폰 반납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는 단순한 사교 모임이라기보다는 ‘선발 시험’에 가까운 구조를 보여줍니다.

“여성은 대상이자 상품?”

특정한 외모 기준이 강조되고, 참가자에게 금전적 보상이 주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는 ‘고정 멤버’와 ‘신규 멤버’로 구분되며, 조건에 따라 지위가 바뀌기도 합니다. 이는 곧 여성의 성 대상화와 상품화 문제로 이어집니다.

“개인의 일탈일까, 사회의 문제일까”

이런 파티는 단순히 개인적 취향이나 사생활의 문제가 아닙니다. 권력을 가진 집단이 보이는 행태는 기업 윤리, 사회적 책임, 그리고 젠더 감수성 문제와 직결됩니다. 앞에서는 여성을 주요 소비층으로 삼아 ‘여성을 위한 가치’를 내세우면서도, 뒤에서는 여성을 소비하는 모순이 드러나는 셈입니다.

 

“우리 사회가 던져야 할 질문”

결국 중요한 건 사회적 질문입니다. 권력층의 이중적 태도는 기업 이미지와 사회적 신뢰를 무너뜨립니다. 더 나아가, 여성의 존재를 온전히 한 개인으로 존중하는 문화가 아닌, 여전히 외모와 조건으로 평가하는 문화가 살아있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 여성에게 팔고, 여성을 산다. 이는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한국 사회의 구조적 성 불평등을 드러내는 상징적 장면일지도 모릅니다.
반응형